본문 바로가기
주식

펀드 종류 펀드 클래스

by 2021. 3. 17.
반응형

펀드 종류와 클래스 분류 방법 알려드립니다. 

 

1. 펀드 

 

특정한 목적을 위해 모아진 자금을 자산운용회사가 투자자들을 대신해 운용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액티브 펀드 (Active Fund) 

 

펀드매니저가 펀드 운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펀드입니다. 

펀드매니저의 역할이 크고, 따라서 운용보수가 높은 편입니다. 

시장 평균 수익률을 초과하는 수익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액티브 펀드는 우리나라에서 과거 펀드 붐이 불었던 2000년대 중반에 많은 사람들이 가입을 했었습니다. 

미래에셋 해외펀드 특히 중국펀드 들이 인기를 얻었습니다. 

 

저 역시도 펀드 붐때 펀드 가입해서 수익을 얻은 펀드도 있고 오랜기간동안 손실을 기록하다가 무사히(?) 탈출한 펀드도 있었습니다. 

 

강방천 회장님이 운영하시는 애셋플러스자산운용의 펀드도 꾸준히 인기가 있었습니다. 

 

작년들어 액티브 펀드 환매 압력은 커졌습니다. 

개인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서 직접투자를 늘리고 있고 펀드 라는 상품의 수요와 인기도 감소하고 있습니다. 

 

패시브펀드 (Passive Fund) 

 

인덱스펀드라고도 불립니다. 

펀드매니저가 펀드 운영에 소극적으로 개입하는 펀드입니다. 

시장 평균 수익률을 추종합니다.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투자종목의 수가 많고 운용보수가 낮은 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목돈을 모으기 위한 용도로 액티브 펀드를 가입합니다. 

매달 자동이체를 걸어두어 적금처럼 이용하는 것은 액티브 펀드가 좀더 비슷합니다. 

ETF (패시브펀드) 도 매달 일정한 날에 비슷하게 운용할수 있겠죠. 

 

장거리 여행 목적으로 몇년간 돈을 모은다던가, 집안 행사를 위해 몇년간 돈을 모으는 경우에 변동성이 적고 은행 이자 보다는 높은 오래된 펀드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저 역시도 이렇게 불입한 펀드가 있었는데 작년 주식시장이 밀릴때 추가 불입을 해서 기대 이상의 수익을 얻었습니다. 

 

2. 펀드 종류

 

주식비중에 따라 주식형펀드, 채권형펀드, 혼합형 펀드로 나눠집니다. 

주식에 60% 이상을 투자하면 주식형펀드, 채권에 60% 이상을 투자하면 채권형 펀드입니다. 

 

3. 펀드 세금 

 

현재 세법에서는 펀드 내에서 국내 주식, 국내주식선물 매매차익 부분에 대해서는 비과세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주식형 펀드라고 해서 무조건 비과세를 받는 것은 아닙니다. 

60% 는 국내주식에 투자하고 40% 를 다른 곳에 분산투자 하는 펀드라면 과세가 되는 부분이 생깁니다. 

 

펀드는 보통 결산일과 환매일에 과세합니다. 

 

4. 펀드 클래스 분류

 

펀드 이름을 보면 펀드의 성격을 알수 있습니다. 

펀드명을 명명하는 방법과 클래스 분류만 이해하면 펀드 성격 파악이 가능합니다. 

 

운용회사 / 투자지역, 섹터 / 자산종류 / 비용구조 순으로 펀드 이름을 짓습니다. 

 

예를들어 미래에셋한국헬스케어투자신탁1호(주식)C-e 펀드는 

미래에셋에서 운용하고 한국에 투자하며 헬스케어 업종에 투자합니다. 

 

대부분의 펀드는 투자신탁형으로 만들어집니다. 

C클래스 이고 온라인으로 가입할수 있는 e클래스 입니다. 

 

1호, 2호 등의 분류는 투자규모가 커지거나 오래되어 1호 펀드 모집이 마감되어 2호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1호와 2호는 완전 동일한 구성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A클래스 

 

펀드 가입시 선취수수료를 받지만 연간 내는 판매 보수는 낮습니다. 

 

C클래스 

 

선취수수료는 받지 않는 대신 연간 판매 보수가 높습니다. 

 

E클래스 

 

온라인을 통해서 가입할수 있는 펀드로 창구 판매 펀드보다 수수료가 저렴합니다. 

 

P클래스 

 

연금저축 펀드를 의미합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증권사 옮기기  (0) 2021.03.19
삼성전자 주가 배당금 지급일  (0) 2021.03.17
키움증권 달러 이체 방법  (0) 2021.03.12
SK바이오사이언스 청약 결과 요약  (0) 2021.03.11
KODEX한국대만IT프리미어  (0) 2021.03.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