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달러 투자 방법

by 2021. 2. 25.
반응형

달러에 투자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투자에 관심이 생기신 분들은 한번쯤 나도 달러자산을 일부 가지고 있어야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특히 금융위기 급 이벤트가 생기거나 환율이 출렁거릴때 그런 생각이 더 많이 듭니다. 

 

1. 달러환율

 

오늘기준으로 달러원 환율은 1107.9원 입니다. 

2020년 3월 달러원 환율이 급등했을때 1296원까지 상승했었습니다. 

이후 점차 안정되면서 2021.01.04 에는 1082원까지 내려갔습니다. 

1월이후 두달간 환율이 꽤 올랐다가 다시 내려가는 모습입니다. 

 

경제관련 책들을 많이 읽는 편이고 뉴스 기사도 틈틈히 챙겨보는 편인데 환율은 그 누구도 예측할수 없다고 말합니다. 

최근에 출간된 책들에서는 당분간은 약달러 기조가 유지되지 않을까 라는 의견이 많은 편이긴 합니다. 

 

달러 약세일때 - 상대적으로 원화가 강세일때 

같은 원화로 더 많은 달러를 살수 있을때 달러 투자를 시작하는것이 타이밍 상으로는 좋아보입니다. 

최근 10년간 달러원 환율 저점은 1007원 이었습니다. 

제 기억에도 900원대 환율은 진짜 오래전에 있었던것 같습니다. 

 

여전히 달러는 기축통화로서의 지위를 굳건히 하고 있습니다. 당분간은 유지할 것 같습니다. 

 

2. 달러예금 달러통장 

 

시중은행에서 외화예금을 가입하는 것입니다. 가장 쉽고 편한 방법입니다. 

비대면으로도 개설이 가능합니다. 편리한 대신 이자율은 낮은편입니다. 계속해서 낮아지는 추세였습니다. 

그래도 환율이 상승하면 의미가 있습니다. 

 

달러예금도 일반예금과 마찬가지로 예금자보호법 적용을 받을수 있습니다. 

이자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15.4% 세금이 붙습니다. 

 

최근들어 달러예금 잔액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라는 뉴스기사가 있었습니다. 

환차익을 확정지으려는 심리인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3. 달러 투자 미국주식 투자 

 

미국주식에 투자하는것도 달러에 대한 투자의 한 방법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미국주식투자는 '달러 투자' 로서의 의미 보다는 '시세차익' 으로서의 의미가 더 크다고 봅니다. 

다만 본인의 금융자산의 일부를 달러로 보유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좋은 방법입니다. 

달러원 환율이 하락하면 주식 수익은 나지만 환으로 손해를 볼수 있다는 점도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산 A 주식이 10% 올랐습니다. 하지만 달러원 환율이 1100원에서 1000원이 되었다면 환에서 다시 10% 깨지는 것이 됩니다. 

 

4. ETF 투자 KODEX달러선물 ETF 

소액으로 투자할수 있는 ETF 입니다.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KODEX미국달러선물입니다.

달러원 환율 방향성에 대한 투자가 가능하고 주식계좌에서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투자손익이 계산되는 방식에 대한 설명입니다. 

 

실물 달러를 환전해서 사는것보다는 수수료 측면에서는 훨씬 비용이 적게 듭니다. 

ETF 는 운용보수 0.25% 가 ETF 가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KODEX미국달러선물 은 정방향으로 달러 환율과 연동됩니다. 

KODEX미국달러선물인버스 상품도 있습니다. 음의 방향으로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KODEX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 와 KODEX미국달러선물인버스2x 상품도 있습니다. 

 

레버리지나 인버스2x 상품을 권하는것은 아닙니다. 

 

다른 자산운용사에서 만든 달러선물 추종 ETF 도 있습니다. 

 

 

주식이나 ETF 말고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것도 달러 투자의 한 방법이라고 소개되기도 합니다. 

반응형

댓글